서장 (書狀)
유통판에게 답해주는 글
서장 (書狀)
유통판에 대한 답서
병 사라졌는데도 약 그대로 쓴다면
옛날에 바수반두가 늘 한 끼만을 먹고 눕지도 않고
육시(六時)에 예불하며 깨끗하고 욕심이 없어서 대중의 귀의를 받았는데,
20조 사야다( 夜多) 존자가 그를 제도하고자 하여 그를 따르는 무리들에게 물었습니다.
‘이렇게 두루 두타행(頭陀行)을 실천하고 범행(梵行)을 잘 닦아서 불도(佛道)를 얻을 수 있을까?”
그 무리들이 말했습니다.
“우리 스승님의 정진(精進)이 이와 같은데 무슨 까닭에 얻지 못하겠습니까?’
사야다 존자가 말했습니다.
“너희 스승은 도(道)와는 멀리 떨어져 있다.
설사 무수한 세월 동안 고행(苦行)을 하더라도 모두가 헛됨과 망념됨의 뿌리가 될 뿐이다.”
그러자 그 무리들이 분을 이기지 못하여 모두 안색을 바꾸고 성난 목소리로 사야다 존자에게 말했습니다.
“존자께서는 어떤 덕을 쌓았기에 우리 스승을 나무라십니까?”
사야다 존자가 말했습니다.
“나는 도(道)를 찾지도 않지만 또한 전도(顚倒)되지도 않는다.
나는 부처를 예경(禮敬)하지도 않지만 또한 업신여기지도 않는다.
나는 장좌불와(長坐不臥)하지도 않지만 또한 게으르지도 않다.
나는 하루에 한 끼 먹는 것은 아니지만 또한 이것 저것 마구 먹지도 않는다.
나는 족함을 알지도 못하지만 또한 탐욕스럽지도 않다.
마음에 바라는 바가 없는 것을 일컬어 도(道)라고 한다.
” 바수반두는 이 말을 듣고서 무루지(無漏智)를 일으켰습니다.
“어리석고 꽉 막힌 장로들은 그대에게 고요히 앉아서 부처되기를 기다리라고 가르치니,
이 어찌 헛됨과 망녕됨의 뿌리가 아니겠습니까?
또 말하기를 고요한 곳에서는 잃지 않지만 시끄러운 곳에서는 잃는다고 하니
어찌 세간상(世間相)을 부수어 실상(實相)을 찾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중생에게는 광란(狂亂)이 바로 병이므로 부처가 적정바라밀(寂靜波羅蜜)이라는 약으로써
그것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병이 사라졌는데도 약을 그대로 쓴다면, 그러한 병은 더 큰 병입니다.
하나는 집어들고 하나는 놓아버리니 어느 때에 끝마치겠습니까?
생사(生死)의 문제가 도래하면 고요함과 시끄러움의 양변은 전혀 쓸모가 없습니다.
매일의 삶 속에서 많음도 아니고 적음도 아니며, 고요함도 아니고 시끄러움도 아니며,
얻음도 아니고 잃음도 아닌 곳으로 즐겨 나아가, 단순히‘이것이 무엇인가’ 하고
주의를 기울여 살피는 것이 좋습니다.”
(123) 삶에 대한 불교의 6가지 관점 (1) 1. 모두 연기(緣起)이다. 2. 모두 실체가 없다."
Prologue (Book)
Reply to distribution version
If you use the medicine as is even though the disease has disappeared
Once upon a time, Vasubandhu always ate only one meal and did not lie down.
He worshiped at six o'clock, was clean and had no greed, and was accepted by the public.
Article 20 Venerable Sayada wanted to save him and asked his followers.
‘Is it possible to attain the path of Buddhism by practicing all-round practices like this and cultivating good conduct?”
The crowd said:
“Our teacher’s effort is like this. Why can’t we achieve it?”
Venerable Sayada said:
“Your teacher is far from the Way.
Even if you practice asceticism for countless years, you will only become the root of vainness and wandering thoughts.”
Then, unable to overcome their anger, the group changed their countenance and spoke to Venerable Sayada in an angry voice.
“What kind of virtues have you accumulated that makes you criticize our teacher?”
Venerable Sayada said:
“I do not seek the Way, but I am also not led.
I do not respect Buddha, but I also do not despise him.
I am not sitting tall, but I am also not lazy.
I don't eat just one meal a day, but I also don't eat a lot.
I do not know enough, but I am also not greedy.
Having no desire in the heart is called Tao.
” When Vasubandhu heard these words, he aroused Muruji.
“The foolish and stubborn elders teach you to sit quietly and wait for Buddhahood.
How could this not be the root of futility and vanity?
They also say that you don't lose something in a quiet place, but you lose it in a noisy place.
Why not break the worldly image and find the real image?
For sentient beings, madness is a disease, so the Buddha gave a medicine called Jeongjeongparamita.
It's about treating it.
If you continue to take medicine even though the disease has disappeared, the disease is a bigger disease.
You pick up one and let go of the other, so when will you finish?
When it comes to matters of life and death, both quietness and noise are completely useless.
In everyday life, it is neither too much nor too little, neither quiet nor noisy,
Enjoy going to a place where you are neither gaining nor losing, and simply ask ‘what is this?’
“It’s a good idea to pay close attention.”
(123) Six Buddhist perspectives on life (1) 1. All are dependent origins. 2. They are all insubstantial.”
https://youtu.be/S2dZSxr7mh8